-
- 성균중국연구소-아모레퍼시픽재단 중국포럼 "한중관계, 영토 너머의 상상" 심포지엄
- 성균중국연구소는 아모레퍼시픽재단 중국포럼과 함께 "한중관계, 영토 너머의 상상"심포지엄을 진행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젊은 연구자들이 각자의 삶에서 경험했거나 연구과정에서 주목해온 한국과 중국, 한중관계의 지형을 소개하고, 이들의 지식 생산이 현재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한중 갈등과 혐오에 던지는 통찰이나 시사점을 발표자, 토론자 청중이 함께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일시: 2022년 7월 8일 (금) 14시-16시장소: 성균관대학교 국제관 9B114, ZOOM주최: 아모레퍼시픽재단 중국포럼,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성균중국연구소
-
- 작성일 2022-07-12
- 조회수 164
-
- 성균중국연구소-콘라드아데나워재단 국제 컨퍼런스 "Understanding China"
- 성균중국연구소는 콘라드아데나워재단과 함께 국제 컨퍼런스 "Understanding China"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에서는 미중 전략경쟁이 전방위적으로 심화되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된 상황에서 한국과 독일의 중국 전문가 및 국제정치 전문가들이 모여 중국의 글로벌 전략 및 지역 전략, 그리고 미중 관계와 한반도라는 주제를 두고 심도 있는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회 의 일 시: 2022년 7월 4일(월) 12:00-18:00회 의 장 소: 성균관대학교 국제관 9B114회 의 방 식: 한-영 동시통역
-
- 작성일 2022-07-12
- 조회수 92
-
- 성균중국연구소-베이징대 국가거버넌스연구원 국가거버넌스포럼 '동아시아 현대화와 거버넌스'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는 베이징대 국가거버넌스연구원과 함께 ‘동아시아 현대화와 거버넌스’를 주제로 제17차 거버넌스포럼을 개최했다. 성균관대, 서울대, 베이징대, 푸단대 등 대학의 19명의 학자들이 모여 코로나와 미중전량경쟁이라는 국제적 배경 속에서 20차 당대회를 앞둔 중국정치 및 동아시아의 현대화 거버넌스에 대해 토론을 진행하였다.주제: 동아시아 현대화와 거버넌스 일시: 2022넌 7월 1일 (금), 9:30 - 13:10 (한국시간)주최: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 베이징대 국가거버넌스연구원장소: 성균중국연구소 (ZOOM 화상회의 진행), 동시통역
-
- 작성일 2022-07-12
- 조회수 114
-
- 성균중국연구소-지린대 공공외교학원 제9회 한중공공외교 연구포럼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는 지린(吉林)대 공공외교학원과 함께 '한중수교 30주년을 위한 한중 공공외교의 새로운 모색'을 주제로 제9회 한중공공외교 연구포럼을 개최했다. 제9회 한중공공외교 연구포럼에서는 신정승 전 주중 한국대사, 닝푸쿠이 전 주한 중국대사 등 양국의 외교 원로들의 기조연설과 함께 공공외교 및 한중관계 분야의 명사를 초청하여 대담을 진행하고, 한중 공공외교 및 국가이미지 연구 분야의 전문가들의 발제를 듣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포럼은 한중수교 30주년 준비사업의 성격을 가지며 공공외교를 토대로 한 한중 관계의 비전과 전망, 그리고 방향성에 대한 공감대를 조성하는 동시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중 공공외교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었다. 주제: 한중수교 30주년을 위한 한중 공공외교의 새로운 모색일시: 2021 11월 12일(금) 14:00--18:10 (한국시간)주최: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 지린대학 공공외교학원 후원: 한국 외교부 장소: 웨스틴조선 호텔 (ZOOM 화상회의 진행), 한중 동시통역
-
- 작성일 2021-11-13
- 조회수 625
-
- 성균중국연구소-베이징대 국가거버넌스연구원 국가거버넌스포럼 '경제발전과 현대국가건설: 동아시아 경험'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는 베이징대 국가거버넌스연구원과 함께 ‘경제발전과 현대국가건설: 동아시아 경험’을 주제로 제16차 거버넌스포럼을 개최했다. 성균관대, 고려대, 서강대, 세종대, 베이징대, 화중사범대 등 대학의 10여명 학자들이 모여 국가와 시장의 관계, 한중 양국의 산업 정책, 거버넌스 현대화 등의 주제로 토론을 진행하였다.주제: 경제발전과 현대국가건설: 동아시아경험일시: 2021 11월 2일(화) 09:00-11:00, 14:30-16:10 (한국시간)주최: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 베이징대 국가거버넌스연구원장소: 성균중국연구소 (ZOOM 화상회의 진행), 동시통역참가자:한국: 이희옥(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 장영희(성균중국연구소), 이율빈(성균중국연구소), 전재호(서강대학교), 장윤미(서강대학교), 김석동(성균관대학교), 김남규(고려대학교), 이문기(세종대학교)중국: 왕푸취(王浦劬, 북경대학교), 옌지룽(燕继荣, 북경대학교), 장창둥(张长东, 북경대학교)펑카이둥(封凯栋, 북경대학교), 천쥔야(陈军亚,화중사범대학교), 저우광후이(周光辉,북경대학교), 쑹레이(宋 磊,북경대학교), 류수양(刘舒杨,북경대학교)
-
- 작성일 2021-11-03
- 조회수 533
-
- 2021 한국-대만 싱크탱크 정책대화
- 성균중국연구소는 대만 국립정치대 동아시아연구소, 한국국제교류재단(KF)와 함께 "2021 한국-대만 싱크탱크 정책대화"를 개최하였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미중 기술경쟁과 한국, 대만의 전략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두 번째 세션에서는 미중전략경쟁 하에서 한국과 대만의 전략선택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진행하였다. 이번 정책대화 회의를 통해 미중 경쟁 하의 핵심기술 공급사슬의 변화와 발전전략 그리고 국방정책에 대한 한국과 대만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는 기회를 가졌다.주제: 미중 기술패권과 동아시아 평화의 길일시: 2021년 10월 5일(화) 14:00-18:00(한국시간)주최: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 국립정치대 동아연구소, 한국국제교류재단장소: 웨스틴조선 호텔 (ZOOM 화상회의 진행), 동시통역참가자:한국: 이희옥(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 이근(한국국제교류재단), 장영희(성균중국연구소), 이율빈(성균중국연구소), 이왕휘(아주대학교), 배영자(건국대학교), 안경모(국방대학교), 이영학(한국국방연구원), 문흥호(한양대)중국: 왕신셴(王信賢, 정치대 동아연구소), 추쿤셴(邱坤玄, 정치대 동아연구소), 류멍쥔(劉孟俊, 중화경제연구원), 장홍위안(張弘遠, 치리과기대), 천더성(陳德昇, 정치대 국제관계연구센터), 허스선(何思慎, 보인대), 지에중(揭仲, 국가정책연구기금회), 딩수판(丁樹範, 정치대 동아연구소)
-
- 작성일 2021-10-06
- 조회수 581
-
- 성균중국연구소-푸단대학교 출판기념회 및 '중국의 길' 중간보고회
- 성균중국연구소는 푸단대학교 국제관계 및 공공사무학원과 함께 공동세미나 겸 출판 기념회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중국의 길'이라는 주제로 푸단대학교 국제관계와 공공사무학원 원장인 쑤창허 교수를 비롯한 상하이 정치학계를 이끄는 학자들이 참여하여 토론을 진행하였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중국의 국내정치와 국제정치 이론계를 대표하는 푸단대학교 주첸웨이 교수의 『중국의 공공개혁:개혁과 현대화』와 류젠쥔 교수의 『전환시대 중국정치의 논리』한국어판 출판기념회 및 서평회를 통해 해당 주제를 둘러싼 학술 토론이 진행되었다. 일시: 2021년 2월 25일 목요일 14:30~18:30(한국시간)회의 형식: Zoom 화상회의 주최: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성균중국연구소, 푸단대학 국제관계와 공공사무학원참가자:한국: 이희옥(성균관대학교), 장영희(성균중국연구소), 황태연(성균중국연구소), 이율빈(성균중국연구소), 양갑용(국가안보전략연구원), 백승욱(중앙대학교), 하남석(서울시립대), 이문기(세종대), 김도경(한국교원대)중국: 쑤창허(苏长和, 푸단대), 주첸웨이(竺乾威, 푸단대), 류젠쥔(刘建军, 푸단대), 싱리쥐(邢丽菊, 푸단대), 멍제(孟捷, 푸단대), 정지융(郑继永, 푸단대)
-
- 작성일 2021-02-26
- 조회수 1115
-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중국국제문제연구원] 미중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
- 성균중국연구소는 중국과 한국의 학자들을 모시고 "미중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라는 주제로 전문가 좌담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를 통해 코로나 19의 세계적 유행이 지속되고 미국에 새로운 행정부가 들어서는 상황에서 변화하는 지역 정세가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미칠 영향과 도전에 대해 한국과 중국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는 기회를 가졌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미중 관계의 변화와 한미동맹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두 번째 세션에서는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에 대해 심도있는 토론을 진행하였다. 주제: 미중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일시: 2021년 1월 26일(화) 14:30-18:00(한국시간)주최: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 중국국제문제연구원방식: ZOOM 화상회의 진행, 동시통역참가자: 한국: 이희옥(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 김연철(전 통일부 장관), 차태서(성균관대학교), 이수형(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장영희(성균중국연구소), 김정섭(세종연구소), 신종호(통일연구원), 정상기(전 동북아 협력대사)중국: 쉬부(徐步, 중국국제문제연구원), 주펑(朱锋, 난징대학 국제관계연구원), 싱리쥐(邢丽菊, 푸단대학 한국연구센터), 류칭(刘卿, 중국국제문제연구원), 양시위(杨希雨, 중국국제문제연구원), 우징징(吴晶晶, 중국국제문제연구원), 닝푸쿠이(宁赋魁, 전 주한중국대사)
-
- 작성일 2021-01-29
- 조회수 896
-
- 성균중국연구소-푸단대학교 공동 세미나 및 출판기념회
- 성균중국연구소는 푸단대학교 국제관계와 공공사무학원과 함께 공동세미나 겸 출판 기념회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중국의 제도와 거버넌스”에 대해 푸단대학교 국제관계와 공공사무학원 원장인 쑤창허 교수를 비롯한 상하이 정치학계를 이끄는 학자들이 참여하여 토론을 진행하였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중국정치와 국제정치의 새로운 흐름”이라는 주제로 중국의 국내정치와 국제정치 이론계를 대표하는 푸단대학교 천밍밍 교수의 『중국의 당국가체제는 어디로 가는가』와 탕스핑 교수의 『국제정치의 사회적 진화』 한국어판 서적 출판기념회와 함게 이 주제를 둘러싼 전문적인 학술토론이 진행되었다.주제: 중국의 제도와 거버넌스. 중국정치와 국제정치의 새로운 흐름일시: 2019년 12월 13일 금요일 13:00~18:00장소: 성균관대학교 국제관 9B114호주최: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성균중국연구소, 푸단대학 국제관계와 공공사무학원, 재단법인 여시재참가자:한국: 이희옥(성균관대학교), 김현주(성균중국연구소), 양철(성균중국연구소), 김동택(서강대학교), 김용신(세종대학교), 최재덕(원광대학교), 안치영(인천대학교), 장윤미(동서대학교), 주재우(경희대학교), 강수정(성균중국연구소)중국: 천밍밍(陈明明, 푸단대학교), 류젠쥔(刘建军, 푸단대학교), 쑤창허(苏长和, 푸단대학교), 싱리쥐(邢丽菊, 푸단대학교), 자오젠즈(赵剑治, 푸단대학교), 천용(千勇, 절강대학교), 위완잉(于婉莹, 성균중국연구소), 탕스핑(唐世平, 푸단대학교)
-
- 작성일 2020-07-20
- 조회수 1125
-
- 성균중국연구소 2019 국제학술회의
- 성균중국연구소는 재단법인 여시재와 함께 “미중관계와 동북아 질서” 제하의 정례국제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정례국제학술대회는 미중 경쟁의 “핵심”을 분석하고 그것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으며 달라진 미중관계에 대한 시각과 담론을 생산하는 또 하나의 논의의 장을 마련코자 하였다. 본 회의는 성균중국연구소 이희옥 소장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미중관계와 한반도’, ‘동북아 안보질서와 중국과 일본’, ‘미중관계의 지속과 변화’등을 주제로 각 세션별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본 회의와 함께 ‘미중 관계와 동북아 질서’를 주제로 한반도 차세대 전문가 세션을 따로 개최하여 한국과 중국의 차세대 한반도 연구자들의 시각을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자리를 가졌다. 주제: 2019 성균중국연구소 국제학술회의: 미중관계와 동북아 질서일시: 2019년 10월 25일 금요일 09:00~18:00장소:(본회의)성균관대학교 인문관 308호,(한반도차세대전문가세션)성균관대학교 600주년기념관 504호주최: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성균중국연구소, 재단법인 여시재참가자:한국: 이희옥(성균관대학교), 왕윤정(현대중국학회), 전재성(서울대학교), 강수정(성균중국연구소), 양철(성균중국연구소), 차정미(연세대 통일연구원), 이재영(통일연구원), 오승희(동아시아연구원), 김용신(세종대학교), 추규호(성균관대학교), 정하용(경희대학교), 김숙현(국가안보전략연구원), 이동률(동덕여자대학교), 김영근(고려대학교), 김영한(성균관대학교), 최필수(세종대학교), 김한권(국립외교원), 남수중(공주대학교) 중국: 판스밍(范士明, 베이징대학교), 션딩리(沈丁立, 푸단대학교), 천용(千勇, 절강대학교), 리팅팅(李婷婷, 베이징대학교), 비잉다(毕颖达, 산동대학교), 왕위안(王圆, 지린성사회과학원), 위완잉(于婉莹, 성균중국연구소), 스융밍(时永明, 중국국제문제연구원), 쉐리(薛力, 중국사회과학원), 샤리핑(夏立平, 통지대학교)
-
- 작성일 2020-07-20
- 조회수 1172